해외건설 투자운용인력
HOME > 게시판 > 건설뉴스
 
고삐 풀린 건자재가격 새해에도 줄줄이 뛴다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7-12-26   조회수 : 2262
파일첨부 :
정책ㆍ중국 변수에 1월 레미콘ㆍ철근부터 들썩일 조짐

철근값 t당 70만원대 돌파 유력

공급 끊긴 바닷모래 의존도 높은

레미콘·드라이모르타르 한계상황

 

전전긍긍 건설업계 "1월부터 비상"

해법 내놔야 할 정부대책은 '부재'

 

무술년(戊戌年) 새해 초부터 건자재 가격이 들썩이면서 건설업계의 신음이 깊어질 전망이다.

레미콘은 바닷모래 공급 차질의 진원지인 부산을 시작으로 사상 초유의 ㎥당 7만원대가 확산될 조짐이다. 모래 의존도가 레미콘을 능가하는 드라이모르타르도 극심한 수급난 아래 1월 연간단가계약을 앞둔 대형건설사들로선 웃돈을 줘서라도 확보해야 하는 처지다.

올 한해만 t당 10만원이 오른 철근은 내년 초 추가상승이 유력해 70만원대 돌파가 초읽기다. M&A를 통해 기존 7대사 구도에서 3강 구도로 재편되면서 가격협상력을 키운 시멘트도 복병으로 꼽힌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가 최근 가진 총회에서 내년에 대한 이런 우려들이 쏟아졌지만 급증한 건설현장과 정부의 정책 부재 아래 전전긍긍하는 처지다.

연초 ㎥당 2만원대에서 현재 4만원대에 근접한 바닷모래를 핵심 원재료로 쓰는 레미콘과 드라이모르타르는 답이 없다. 레미콘은 내년 1월 ㎥당 7만37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할 부산권에 이어 이에 못지않은 모래수급 어려움을 겪는 경남권(6만7600원)과 울산권(6만9400원) 단가도 7만원대 돌파가 유력하다. 경남권의 경우 이도 모자라 부산권 수준의 인상폭이 아니라 부산과 동일한 단가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당 6만4500원의 여수권 레미콘사들도 7만2800원으로 인상하겠다는 계획을 건설사들에 통보했다. 전국 물량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수도권 단가협상도 연초 본격화할 예정이다.

1월 삼성물산, 호반건설을 시작으로 주요 건설사들과의 연간단가계약이 예정된 드라이모르타르는 레미콘을 능가하는 수급 불균형 아래 건설사들로서는 어떤 단가든 수용해야 할 처지로 몰리고 있다. 이날 건자회 총회에서는 그동안 개별사에 일임한 드라이모르타르 단가협상을 철근ㆍ레미콘처럼 건자회가 직접 개입해 타결하자는 제안도 잇따랐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올해 건설현장의 최대 골칫거리였던 철근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단가조정 기준인 스크랩가격 변동 폭만 보면 내년 1분기에 t당 2만원가량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 현재 t당 68만5000원인 철근단가가 새해 벽두에 70만원대를 무난히 넘길 상황이다. 반면 제강사들은 제대로 된 단가 반영이 힘든 건자회와의 현 협상을 거부할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어 내년 1분기의 실제 철근 인상폭은 이를 능가할 수 있다는 게 건설업계 우려다.

작년 초 공정거래위원회의 담합 처분 충격 이후 잠잠했던 시멘트가격의 반등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상위 7대사 경쟁구도가 올해 한일ㆍ아세아시멘트의 현대ㆍ한라시멘트 인수를 계기로 내년 5대사 체제로 축소돼 시멘트업계의 가격지배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온실가스배출권 부담에 지역자원시설세까지 안을 위기로 내몰리는 점도 한몫했다. 생산량 감축과 단가인상이 유일한 대안인데, 두가지 모두 건설업계에 악재인 탓이다.

노동호 건자회장은 “중국 등 대외변수에 발목이 잡힌 철근은 그렇다고 쳐도 국내에서 완충이 가능한 바닷모래 문제는 정부와 정치권이 책임지고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하지만 이번주 발표될 정부 종합대책도 기대 이하로 전해지고 있다”며 “우리 건설업계 차원의 단가 완충책과 품질ㆍ안전 확보 노력은 한계에 도달했다. 이제는 정부가 책임있는 대안을 내놓아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이전글 내년부터 제조·철도업 '원청의 산재 책임' 강화
다음글 서울 용산 한강맨션ㆍ한강삼익아파트 '최고 35층'으로 재건축
이름 비밀번호
* 왼쪽의 자동등록방지 코드를 입력하세요.
        
           
Copyright(c) 2015 www.con.or.kr. All rights reservice.   |   저작권정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