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건설 투자운용인력
       
HOME > 게시판 > 건설뉴스
 
거래절벽 속 잔금대출 막혀...'입주대란' 비상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19-01-22   조회수 : 2744
파일첨부 :
거래절벽 속 잔금대출 막혀...'입주대란' 비상
기사입력 2019-01-22 06:00:09. 폰트 폰트확대폰트축소
“집값 더 떨어져야” 김수현發 추가규제 예고…건설업계, 대응전략 마련 분주
   

 

 

올해 청와대가 부동산 시장 억제 정책 기조를 그대로 유지할 것이란 입장을 밝히며 업계와 시장이 확연히 가라앉은 분위기다. 건설사들은 재빠르게 미입주 및 잔금납부 연기 시나리오 점검에 들어갔고, 역전세 대란이 이어지는 강남 일부와 수도권 시장은 패닉에 빠졌다.

21일 대형 건설사들은 일제히 20일 오후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이 밝힌 부동산 정책 기조를 임원회의 주요 안건으로 올리며 현황 점검에 들어갔다.

A사 임원은 “일요일 오후 언론을 통해 김수현 실장의 발언이 공개되자 마자, 주택사업본부를 중심으로 동향보고가 올라왔다”며 “올해 지역별 대출규제 완화를 기대했던 터라, 최악의 시나리오로 대응 전략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수현 청와대 정책실장은 20일 오후 춘추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최근 부동산 시장의 상승세가 꺾인 것은 맞지만 최종적인 기대 수준은 아니다”라고 언급하며 앞으로 시장 상황에 따라 추가 하락을 이끌 대책 마련을 예고했다.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10주 연속 하락세. 하지만 청와대는 여전히 집값이 더 하락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인 셈이다.

김수현 실장의 발언이 알려지자 업계와 시장 전문가들은 당황했다.

김광석 리얼투데이 대표는 “현재의 경기 침체 수준과 우리나라에서 ‘주택담보대출’이 자영업자에게 갖는 의미를 감안했을 때 깡통전세 대란이 불거진 곳을 중심으로 대출규제 정도는 일부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놀랍다”며 “특히 시세가 대통령 취임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야 한다고 보는 시각이 충격적이었다”고 지적했다.

김수현 실장의 발언 이후 건설사들은 최악의 상황에 대응한 시나리오까지 모색 중이다.

B사 임원은 “시장 현황 보고서를 매일 받고 있는데 수도권에서 입주 시점 연기를 요청한 단지가 나왔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는 입주자들의 100% 동의 없는 입주 시점 연기는 불가능하고 일부 건설사에서는 잔금 납부 시점을 연기해주는 것도 검토 가능할 것 같은데 현재 분위기에서는 명분 없이 납부 시점 연기도 (정부에)눈치가 보여 어렵다”고 설명했다.

업계와 시장 전문가들은 현 정부의 기조를 봐서는, 중산층이 집중 거주하는 지역에서 시장이 크게 붕괴해야 정부의 정책이 다소간 선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전문가들이 꼽는 대표 지역은 동탄2신도시. 올해 1만3000여 가구가 입주하는 동탄2신도시는 올해 전세 만기까지 돌아온다.

  실제로 이달에 입주하는 ‘동탄역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7.0’전용 73㎡의 전세 시세는 1억6000만원까지 하락하는데도 거래가 이뤄지지 않아 최근에는 보증금 2000만원ㆍ임대료 65만원 정도를 책정한 월세 매물이 급증했다. 작년 말 입주한 ‘동탄2사랑으로부영(A75BL)’ 전용 59㎡의 경우도 21일 확인매물 기준 전세시세가 9000만원까지 떨어졌다. 1억원이 붕괴한 셈이다.

동탄역 인근 공인중개사무소는 “갭투자자가 많았던 지역으로 꼽히다 보니 찾아오는 수요자들도 처음부터 월세 매물만 찾는다”며 “KTX 하나 보고 들어온 중산층들이 많은 지역이어서 전세 세입자를 못 찾으면 어디서 자금 조달도 여의치 않은 이들이 많아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김수현 정책실장의 기자간담회 내용이 알려진 직후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잔금 납부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청원이 올라오기 시작했다.

한 청원자는 “전세 만기가 돌아왔는데 시세가 떨어져 집을 팔아 전세금을 돌려줘야 하는 가운데, 거래 자체가 이뤄지지 않고 대출도 막혀 앞이 막막하다”며 “투기 목적이 아닌 이들의 전세금 반환에 대해서는 대출을 허용해 달라”는 고충을 토로했다.

최지희기자 jh606@

이전글 중견건설사들도 ‘주택개발리츠시장’ 진출 러시
다음글 도시재생사업에 주택기금 활용 확대 추진…수익성 확보해야
이름 비밀번호
* 왼쪽의 자동등록방지 코드를 입력하세요.
        

           
Copyright(c) 2015 www.con.or.kr. All rights reservice.   |   저작권정책 보기